금융시장 반발 의식한 트럼프 "파월, 알아서 그만두면 좋겠다"
지난해부터 금리 인하를 외치며 중앙은행장을 쫓아낸다고 주장했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금융 시장 내 불만을 의식해 한발 물러섰다. 그는 자신이 직접 쫓아낼 가능성은 거의 없다며 당사자가 스스로 물러나길 바란다고 말했다. 미국 우파 매체 리얼아메리카보이스에 따르면 트럼프는 16일(현지시간) 해당 매체와 전화 인터뷰에서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의 제롬 파월 의장을 언급했다. 파월의 의장 임기는 내년 5월까지다. 트럼프는 파월이 임기 만료 전에 사임한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그가 사임을 원한다면 너무 좋겠다"며 "그것은 그에게 달려 있다"고 답했다. 트럼프는 "사람들은 만약에 내가 그를 해임하면 시장을 혼란스럽게 만들 것이라고 말한다"고 밝힌 뒤 "많은 사람들은 그가 연준에서 하고 있는 '사기' 때문에 경질되어야 한다고 말한다"고 주장했다. 연준은 2021년부터 워싱턴DC의 본부 보수 공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2022년 기준 공사에 들어간 비용은 25억달러(약 3조4765억원)으로 급증했다. 연준은 인건비와 자재비 상승때문에 공사비가 늘었다고 밝혔다. 그러나 백악관과 공화당 인사들은 연준이 옥상 정원과 인공 폭포, VIP용 엘리베이터, 대리석 장식 등 불필요한 사치품을 설치했다고 비난했다. 동시에 공사비용이 초기 계획보다 7억달러 늘어났다고 주장했다. 부동산 개발업자 출신인 트럼프는 연준 보수 공사에 대해 "예산을 10억달러 초과했다"라며 "이 사람(파월)은 연준을 운영하는 사람"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연준 본부가 "세계에서 가장 비싼 건물 중 하나"라며 "장담컨대 계약한 업자는 큰돈을 벌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는 해당 공사에 "25억달러를 쓰고 있다는 것인데, 나는 그런 사안에 매우 능하다. 나는 그것을 살펴 봐야겠다"고 강조했다. 막대한 정부 적자·부채 때문에 이자비용에 쫓기는 트럼프는 지난해부터 연준을 향해 기준 금리를 내려 정부 부담을 줄이고, 경기 부양에 집중하라고 요구했다. 그러나 파월은 트럼프가 시작한 관세 전쟁을 의식해 다가올 물가상승을 염두에 두고 올해 4회 연속으로 금리를 동결했다. CBS 등 미국 매체들은 15일 관계자를 인용해 트럼프가 공화당 의원들과 간담회에서 파월 해임에 대해 물었고, 의원들이 동의했다고 보도했다. 이에 16일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장중 0.7% 떨어지기도 했다. 이런 가운데 월가 '큰손'들은 파월을 옹호하며 중앙은행에 간섭하는 트럼프를 에둘러 비난했다. 15일 미국 JP모건체이스 은행의 제이미 다이먼 최고경영자(CEO)는 "연준을 갖고 장난치는 것은 역효과를 낳을 수 있으며, 기대했던 것과는 정반대의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pjw@fnnews.com 박종원 기자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속보][뉴욕증시] 일제히 상승…나스닥, 사흘 연속 사상 최고
[파이낸셜뉴스]dympna@fnnews.com 송경재 기자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